예수안에서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는 한 형제인데 서로 다투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는 연합의 흐름도 있습니다. 두 짐승(국가와 종교)이 세력을 얻어가는 이 때, 우리는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의 시각차이를 삼위일체안에서 극복하고 하나님이 원하는 나라를 향해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황 목사가 나름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 그리고 알미니안에서 약간 진전된 웨슬레주의를 잘 설명하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은 칼빈주의 신앙을 담고 있는 개신교의 신앙고백입니다. 따라서 칼빈주의 또는 개혁주의라고 불리는 전통에서 주요 신조로 채택되고 있습니다. 1643년 영국의회가 소집해 5년간 웨스터민스터 대성당에서 격렬한 논쟁을 거쳐 1648년 영국의회에서 공인되었습니다. 이 문서는 청교도들에 의해 미국으로 건너가 한국으로 전해졌습니다. 문병호 교수의 강의는 예장합동 청년면려회(CE) 주최로...
알미니안주의를 시작했던 제이코부스 아르메니우스(Jacobus Arminius, 1960-1609년)는 원래 칼빈주의자였습니다. 아르메니우스는 칼빈의 예정론을 옹호하기위해 당시 더크 코른헤르트(Dirck Coornhert)의 예정론에 관한 글을 읽게됩니다. 그러다가 코른헤르트의 입장을 지지하는 사람으로 입장이 바뀌게 됩니다. 예정론에는 아담이 타락하기 전에 이미 하나님이 예정했다는 ‘타락전 예정론’, 아담 타락 이후에 하나님의 예정이 있었다는 ‘타락후 예정론’ 그리고 가톨릭에서 주장하는...
칼빈이 1559년 최종판으로 기록한 기독교강요 3권은 성령의 사역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 교수는 성령의 사역은 기독교강요 전체 부분에 반영돼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4-4 유투버 예정론 설명에서 가톨릭의 예정교리와 칼빈의 선택예정론을 단순 명쾌하게 설명합니다.
기독교강요 마지막판(1559년)은 전체 4권입니다. 1권은 성부하나님에 대하여, 2권은 성자 예수님에 대하여, 3권은 성령의 사역에 대하여, 4권은 교회에 대한 부분을 다루고 있습니다. 문병호 교수는 2-9 유투브 강의에서 칼빈의 저작이 네덜란드나 프랑스, 영국 등 유럽에 전파될 때는 1차 저작물이 직접 전달돼 그것을 자신의 국가상황에 맞게 수정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한국은 칼빈의...
기독교 역사상 영원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두 논쟁이 있습니다. 이를 종교개혁 이후의 신학적 용어로 표현하면 ‘칼빈주의 대 알미니안주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칼빈이 그 한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독교강요’가 바로 그 책입니다. 칼빈의 ‘기독교강요’를 라틴어로부터 직접 번역한 문병호 교수의 유투브 강의를 링크합니다. 문 교수는 기독교강요 번역을 위해 하루 15시간씩 10년동안의...
하마성경 정은수 집사가 강의하는 고린도전서 전체 풀버전입니다.
성경통독으로 잘 알려진 하마성경(하나님의 마음으로 성경읽기)에서 지난 9월 예장통합 이단대책위원회의 발표에 대한 하마성경의 입장문을 올렸습니다. * 하마성경연구소 홈페이지(정은수 소장)
권연경 교수는 자신의 박사논문이기도 한 갈라디아서 연구를 통해 바울이 갈라디아서에서 말하고자 한 것은 성령을 통해 믿음을 갖게되는데 그 믿음은 장차 도래할 미래의 소망을 의미하는 것이고 야고보서에서 주장하는 내용과 동일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예레미야 29장 10-11절 10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바벨론에서 칠십 년이 차면 내가 너희를 권고하고 나의 선한 말을 너희에게 실행하여 너희를 이 곳으로 돌아오게 하리라11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너희를 향한 나의 생각은 내가 아나니 재앙이 아니라 곧 평안이요 너희 장래에 소망을 주려 하는 생각이라 이사야 55장 8-9절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