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리 그레이엄 전도대회-1973.06.03

빌리그레이엄전도대회는 1973년 5월 30일부터 6월 3일까지 5일 동안 여의도광장에서 열렸습니다. 마지막 날인 6월 3일 ,여의도 광장에 110 만 명이 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민일보 ‘더미션’에서 링크합니다.  아래 링크는 미국 빌리그래함 Library 입니다. https://billygrahamlibrary.org/blog-inside-the-archives-of-the-1973-seoul-korea-crusade/ 

바울신학대학원 2023년 여름학기 특강

바울신학대학원 2023년 여름학기 특강 안내를 드립니다. 부디 참석하셔서 하나님의 크신 은혜가 있으시기를 기도드립니다.   일시: 2023년 6월 4일 일요일 밤 7시반-9시반 (미국동부시간); 한국시간 월요일 아침 8시반-10시반 강사: 정성욱박사강의제목: “조나단 에드워즈의 교회론과 현대 한국/이민교회적 의미” 강사 약력: 덴버신학교 조직신학 교수                  옥스포드대학교 DPhil...

칼 바르트 로마서강해(2판)-케리그마신학연구원

칼 바르트는 로마서강해와 교회교의학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로마서강해 1판은 1919년에 출판돼 독일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후 로마서 강해 2판은 칼 바르트 자신이 돌 하나도 돌 위에 놓지 않을 정도로 완전히 로마서를 새롭게 썼다고 기록합니다.  전체 30강으로 구성된 케리그마신학연구원의 강의는 김재진 박사를 중심으로 장신대 교수 등이 강의를 진행합니다. 중간에...

총회장 위상문제 재고해야 될 때-심창섭 명예교수

고신 목회자들이 중심이 된 미래교회포럼이 지난 12월 5일 서울제일교회(김동춘 목사)에서 열렸습니다. 총신대학교에서 1988년부터 23년간 역사신학을 가르쳤던 심창섭 명예교수의 강의를 올립니다. 전체 10시간 원본 동영상을 링크할 수 없어  심 명예교수의 강의 부분을 발췌했음을 알려드립니다.  원 동영상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v5OPAHI1Bk

‘개혁신학의 적용문제’-양낙흥 목사

고신 목회자들이 중심이 된 미래교회포럼이 지난 12월 5일 서울제일교회(김동춘 목사)에서 열렸습니다. 고려신학대학원을 은퇴한 양낙흥 목사의 강의를 올립니다. 전체 10시간 원본 동영상을 링크할 수 없어 양 목사의 강의 부분을 발췌했음을 알려드립니다.  원 동영상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v5OPAHI1Bk

근현대교회사-라은성 교수

라은성 교수님의 근현대교회사를 모두 들었습니다. 이런 강의를 일찍 듣지 못했던 제가 과연 교계 기자라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국에도 이런 교수님이 있었구나 하는 생각에 한국교회에 대한 희망이 싹터 올랐습니다. 라 교수가 칼빈의 개혁주의 노선을 취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분의 진실성이 보였기 때문입니다.  초대교회사부터 전체 강의를 들으면서 머리에...

중세교회사-라은성 교수

라은성 교수의 초대교회사를 두번 들었습니다. 아리안주의, 세미펠라기우스주의, 삼위일체 문제 등으로 고민하는 분이 계시다면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들어보시길 권장합니다. 라 교수의 얘기 중에 기도에 관한 책이란 책은 모조리 구해서 읽다가 칼빈의 기독교강요 제3권에서 기도에 대한 해답을 찾았다는 본인의 고백이 있습니다. 구도자로서의 철저함이 느껴지는 대목이었습니다. 중세교회사도 전체 강의를 모두 들었습니다. 로마가톨릭은...

초대교회사-라은성 교수

총신대 신학과장으로 재직했던 라은성 교수의 ‘이것이 교회사다-초대교회사’편을 모두 들었습니다. 본인이 보수적인 신앙을 가졌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반드시 들어야 할 강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보수라고 하는 총신대 교수의 70~80 퍼센트가 정통신앙과는 다른 신앙을 가졌다고 라 교수는 평가합니다. 또 한국교회의 99.99 퍼센트가 영지주의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직접 라 교수의 강의를 듣다보면 왜 이런 말을...

루터의 숨겨진 이야기 | 이길용 교수

한국에서 루터교단이 작다고 독일이나 해외에서도 작은 교단은 아닙니다. 칼빈주의가 대세인 한국에서 루터는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독일에서 루터는 아직도 ‘독일국가의 아버지’로 불리워지고 있습니다. 저부터 루터공부를 새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루터가 심한 변비를 갖고 있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16세 연하 아내인 카타리나 폰 보라와 어떤 삶을 살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