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바르트 교회교의학 강의를 처음부터 끝까지, 빠지지 않고, 모두 들었습니다. 칼바르트라는 이름은 자주 들어 보았지만 이 사람이 어떤 신학을 가지고 사고했는지는 저로서 처음 접해보는 터러 아주 흥미로운 시간이었습니다. 칼바르트는 칼빈의 노선을 따르고 있으나 부분적으로 다른 해석의 여지를 많이 남겨두고 있습니다. 칼빈주의를 따르는 이들이 칼바르트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존 칼빈의 생애를 잔잔하게 듣고 있노라면 개신교 개혁 이후 500년을 끌고 온 힘의 근원은 무엇일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루터를 통해 반가톨릭의 정서가 독일을 중심으로 번져 나가고 있을 때 칼빈은 기독교강요를 읽고 감동을 받은 파렐 기욤을 만나게 됩니다. 그것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하룻밤을 묵다 발생한 사건이었습니다. 그 일이 계기가 돼 칼빈의...
이오갑 교수는 자신이 수년간 칼뱅에 대해 연구한 것을 바탕으로 칼뱅의 사상을 소개합니다. 이 교수는 칼뱅의 사상에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섞여 있으며 루터가 농업과 수공업을 강조한 반면 칼뱅은 상업과 이자제도를 적극 수용했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칼뱅 사상은 유럽과 영국, 호주, 캐나다, 미국에 영향을 미쳤고 한국 개신교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말합니다. 칼뱅에 대한...
‘자본주의’의 정신적 지주가 된 개신교 교회의 ‘칼뱅주의’ | ‘예정론’과 ‘직업소명설’은 어떻게 자본주의 정신이 되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