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절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봅니다. 사무엘하 24장은 다윗의 인구조사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다윗이 살아 생전 하나님 앞에 범죄한 것이 우리야의 아내 밧세바를 범한 것과 요압 장군을 시켜 인구조사를 한 것으로 나옵니다. 자신의 영향력을 파악하기위해 인구조사를 실시한 것에 대해 성경은 사탄으로부터 나온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울이 기브온 사람들을 죽인 것에 대해 다윗 때에 기브온 사람들이 이를 문제 삼습니다. 사울이 베냐민 지파이므로 기브온은 베냐민 지파 7명을 대표로 죽이게 됩니다. 다윗은 요나단과의 약속이 있으므로 므비보셋은 내어 주지 않습니다. 사무엘하 22장에는 블레셋 사람들이 베들레헴을 점령하고 있을 때에 다윗이 자신의 고향인 베들레헴의 우물물을 그리워하자 세용사인 요셉 밧세바,...
추수감사절기를 맞아 추수감사절의 의미를 다시한번 되새겨 봅니다. 성경에서 이스라엘은 두번의 감사절기를 지켯습니다. 초창기 미국 청교도들은 미국 동부 보스턴 플리머스에 11월 중순경에 도착해 혹독한 겨울을 지냈습니다. 1백여명 중 겨울을 지나고 나닌 절반 정도가 사망할 정도로 어려운 시절을 보냈습니다. 인공지능시대를 맞아 앞으로 인류는 ‘예수를 필요로 할까?’라는 문제를 잠시 생각해 봅니다....
사무엘하 19장은 다윗이 압살롬의 반역이 제압된 이후 예루살렘으로 다시 돌아가는 내용입니다. 그 과정 중에 요압이 개입합니다. 요압은 다윗이 군대장관으로 시므이를 임명하자 그를 죽이는 등 상당히 정치적 권력에 대한 집착을 보입니다. 요압, 아비새, 아사헬은 한 형제로서 성경에는 보통 아버지의 아들로서 기록이 되지만 요압의 형제들은 어머니의 아들로서 기록된 특이한 점이...
1964년에 문자가 표시된 ‘에블라 토판’이 발견됩니다. 에블라 토판의 발견으로 모세오경의 기록이 기원전 1400년 경에 기록됐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됐습니다. 에블라 토판 발견 이전에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기원전 800년에 문자가 생겼으므로 모세오경은 기원전 500년 경에 쓰여졌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에블라 토판은 기원전 1700년 전에 기록된 것으로 검증된 바 있습니다. 성경이 하나님의...
과학의 영역과 신앙의 영역은 서로 다른 것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사무엘하 16장은 시므이가 다윗을 저주하는 내용이 기록돼 있습니다. 이를 보고 아비새가 시므이를 죽이려 하지만 다윗이 이를 저지합니다. 압살롬이 예루살렘을 장악한 이후, 다윗이 보낸 후새가 압살롬에게 나아갑니다. 후새는 다윗이 보냈다는 사실을 숨기고 압살롬과 함께 합니다. 한편 압살롬은 아히도벨에게 다윗을 이길...
신구약성경은 약 40명의 저자가 1600여년에 걸쳐서 기록된 책입니다. 하지만 그 기록에는 놀라운 통일성을 갖고 있습니다. 성령께서 저자들의 마음을 주장해 같은 구원의 계시로 일관되게 기록했기 때문입니다. (딤후 3:16) 사무엘하 15, 16장에는 다윗이 세번째 아들 압살롬의 난을 피해 도망가는 와중에 여러 부류의 사람들의 반응이 기록돼 있습니다. 그 중에 므비보셋의 종인...
기독교의 기본문제들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존재를 문제 삼지 아니하고 인식을 문제삼습니다.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보다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것을 증명하는 것이 더 어렵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이 계시는가 아니계시는가를 문제삼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문제삼고 있습니다. 다윗의 아들 압살롬에 대해 살펴봅니다. 압살롬은 자신의 형인 암논을...
기독교 신앙의 기초에 대한 부분을 설명합니다. 하나님 존재에 대한 이론적인 증명은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존재론적 증명(Ontological Proof, 안셀무스, 데카르트) 2. 우주론적 증명(Cosmological Proof) 3. 목적론적 증명(Teleological Proof)이 있습니다. 사무엘하 13장은 다윗이 낳은 배다른 자식들 사이에 강간사건과 형제간의 복수극을 기록합니다. 다윗의 장남인 암논이 누이인 다말을 강간하자 다말의...
성경해석의 기본원리는 예수 그리스도가 그 중심에 있어야 한다는 것과 구약에서 신약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신약에서 구약을 해석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사무엘하 12장에서 다윗이 나단 선지자에게 책망을 들었을 때는 밧세바와의 동침 사건 이후 9개월이나 지난 뒤였습니다. 다윗은 그 9개월동안 모든 사람들에게 평상과 다름이 없는 사람으로 보였습니다. 하지만 시편 51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