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Posts tagged이길호목사

캄보디아 웨스터민스터 신학교 사역보고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 인근에서 10년전부터 웨스터민스터 신학교 사역을 해왔던 이길호 목사(이사장)로부터 캄보디아를 통해 바라본 동남아시아 선교사역의 중요성에 대해 들어봅니다.

‘자살’에 대해 성경이 말하는 내용

자살을 어떻게 생각해야 하나?자살은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거스리는 행위이다. 자살은 살인하지말라는 제6계명을 범하는 것이다. 욥은 극한의 상태에서도 자살을 택하지 않았다.  자살한 사람은 구원을 받는가?천주교는 자살한 사람이 구원을 못 받는다는 입장이지만 루터와 칼빈의 종교개혁 이후에는 천주교와 다른 입장을 보인다. 자살하는 것으로 구원을 잃는다는 것은 성경에 어긋나는 것이다. 왜냐하면 구원은 인간편에서...

이길호목사의 수요성경공부-‘식물인간상태’ & ‘사무엘서’

1부: 식물인간 뇌사상태를 성경적 관점에서 어떻게 볼 것인가? 유물론적 관점은 인간의 모든 활동을 뇌의 작용으로 본다. 정신과 의사들 가운데 이런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성경에는 일반상태든 뇌사상태든 인간의 영혼과 육체를 분리하는 개념이 없다. 창세기 2장 7절에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이길호목사의 수요성경공부-‘안락사문제’ & ‘사무엘서’

최근 스위스에서 한국사람이 안락사 기관에 의뢰해 마지막 죽음을 맞았다는 보도다 있습니다. 안락사가 처음 시작된 것은 고통을 당하는 사람에게 그고통을 덜어주어야 한다는 좋은 의도에서 시작했지만 현실은 그 반대로 범죄에 이용될 소지도 다분히 있습니다. ‘안락사’와 ‘진료중단’은 그 의미가 다릅니다. 안락사는 인간이 자연적인 생명을 단절시키는 것이고 진료중단은 마지막까지 본인이 생명을 유지한다는...

이길호목사의 수요성경공부-‘전쟁과 평화 & 룻기

미가서 4장 3절에 전쟁에 관한 언급이 있습니다. 초대교회 교부들은 대부분 절대 평화주의를 주장했습니다. 터툴리안은 사형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중세시대 후스파, 에라스무스, 재세례파 등도 평화주의를 주장했습니다. 톨스토이는 전쟁과 평화라는 작품을 통해, 투투 대주교 등도 전쟁이 아닌 절대적 평화를 외쳤습니다. 이와달리 정당한 전쟁은 해야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어거스틴, 아퀴나스, 칼빈 등이 여기에...

[교회사] 이길호 목사의 수요성경공부-미국의 다양한 교회들 & 룻기

1620년에 분리주의 청교도가, 1630년대 비분리주의 청교도가 보스톤에 도착합니다. 이보다 앞선 1607년에 버지니아 제임스타운에 영국으로부터 정식 허락을 받은 이들이 영국성공회 교회를 세웁니다. 처음 1년동안은 정착자 3분의 1이 사망할 정도로 힘든 시기를 보냅니다. 144명이 3척의 배를 타고 1607년 4월 26일 체사피크만에 도착합니다. 보스톤에 도착한 청교도들이 처음 세운 것은 미팅하우스(Meeting House)였으나...

[교회사] 이길호 목사의 수요성경공부-대각성운동 & 룻기

18세기 미국 대각성운동 때 조나단 에드워드와 찰스 촌시의 논쟁을 비교합니다. 특히 대부흥시 감정(Affection)에 대한 부분은 지금까지도 논쟁이 되고 있습니다. 조나단 에드워드는 당시 ‘Religious Affection’이란 책에서 부흥현상에 대해 진단하고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교회사] 종교개혁 – 이길호목사의 수요성경공부

1517년 10월 31일 토요일, 33세의 독일 비텐베르그 대학 신학교수였던 마틴 루터는 교황청에서 베드로성당 건축기금 모금을 위해 파송한 테젤의 연설에 반대하는 95개조의 반박문을 비텐베르그 대학 정문에 게시합니다. 이것이 16세기 종교개혁의 서막이었습니다. 이러한 개혁을 가능하게 했던 배경에는 르네상스 운동으로 잘 알려진 에라스무스가 신약성경을 원어인 헬라어로 번역하면서 성경의 원래 말슴이 드러나면서...

[교회사] 추수감사절의 기원 – 이길호목사의 수요성경공부

추수감사절의 유래는 1620년 신앙의 자유를 찾아 미국으로 온 영국의 청교도로부터 시작됐습니다. 1621년 가을, 청교도들은 인디언들을 초청해 3일간 감사축제를 가졌습니다. 미국에서는 추수감사절이 공식명절로 선포됐으나 연방정부가 완전히 형성되기 전까지는 잘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2차대전 이후 루즈벨트 대통령에 의해 추수감사절이 선포된 이후 지금까지 매년 감사절이 지켜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