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울이 기브온 사람들을 죽인 것에 대해 다윗 때에 기브온 사람들이 이를 문제 삼습니다. 사울이 베냐민 지파이므로 기브온은 베냐민 지파 7명을 대표로 죽이게 됩니다. 다윗은 요나단과의 약속이 있으므로 므비보셋은 내어 주지 않습니다. 사무엘하 22장에는 블레셋 사람들이 베들레헴을 점령하고 있을 때에 다윗이 자신의 고향인 베들레헴의 우물물을 그리워하자 세용사인 요셉 밧세바,...
사무엘하 19장은 다윗이 압살롬의 반역이 제압된 이후 예루살렘으로 다시 돌아가는 내용입니다. 그 과정 중에 요압이 개입합니다. 요압은 다윗이 군대장관으로 시므이를 임명하자 그를 죽이는 등 상당히 정치적 권력에 대한 집착을 보입니다. 요압, 아비새, 아사헬은 한 형제로서 성경에는 보통 아버지의 아들로서 기록이 되지만 요압의 형제들은 어머니의 아들로서 기록된 특이한 점이...
과학의 영역과 신앙의 영역은 서로 다른 것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사무엘하 16장은 시므이가 다윗을 저주하는 내용이 기록돼 있습니다. 이를 보고 아비새가 시므이를 죽이려 하지만 다윗이 이를 저지합니다. 압살롬이 예루살렘을 장악한 이후, 다윗이 보낸 후새가 압살롬에게 나아갑니다. 후새는 다윗이 보냈다는 사실을 숨기고 압살롬과 함께 합니다. 한편 압살롬은 아히도벨에게 다윗을 이길...
신구약성경은 약 40명의 저자가 1600여년에 걸쳐서 기록된 책입니다. 하지만 그 기록에는 놀라운 통일성을 갖고 있습니다. 성령께서 저자들의 마음을 주장해 같은 구원의 계시로 일관되게 기록했기 때문입니다. (딤후 3:16) 사무엘하 15, 16장에는 다윗이 세번째 아들 압살롬의 난을 피해 도망가는 와중에 여러 부류의 사람들의 반응이 기록돼 있습니다. 그 중에 므비보셋의 종인...
기독교의 기본문제들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존재를 문제 삼지 아니하고 인식을 문제삼습니다.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보다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것을 증명하는 것이 더 어렵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이 계시는가 아니계시는가를 문제삼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문제삼고 있습니다. 다윗의 아들 압살롬에 대해 살펴봅니다. 압살롬은 자신의 형인 암논을...
기독교 신앙의 기초에 대한 부분을 설명합니다. 하나님 존재에 대한 이론적인 증명은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존재론적 증명(Ontological Proof, 안셀무스, 데카르트) 2. 우주론적 증명(Cosmological Proof) 3. 목적론적 증명(Teleological Proof)이 있습니다. 사무엘하 13장은 다윗이 낳은 배다른 자식들 사이에 강간사건과 형제간의 복수극을 기록합니다. 다윗의 장남인 암논이 누이인 다말을 강간하자 다말의...
하나님의 약속의 책인 성경에는 하나님의 수많은 약속-언약-이 기록돼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언약의 사람으로 ‘아브라함’과 ‘다윗’을 들 수 있습니다. 아브라함에 대한 언약은 창세기 15장에 나옵니다. 다윗에 대한 하나님의 언약은 사무엘하 7장으로 대표됩니다. 다윗은 자신은 백향목 궁에 거하는데 하나님의 궤는 장막에 있음을 보고 하나님의 성전을 건축하려 합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
성경해석의 기본원리를 확인합니다. 다윗이 40년동안 통치하는 가운데 헤브론에서 7년 6개월을, 예루살렘에서 33년을 통치합니다. 그 통치 기간동안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삶을 살아갔는지 살펴봅니다.
성경해석의 원리가 이어집니다.정리하면 1. 성경은 문맥을 따라 해석할 것 2.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할 것 3. 문법을 이해할 것 등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사무엘서에 나오는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은 하나님이 함께하였기 때문에 다윗이 승리했다는 사실과 다윗이 평소 양을 돌볼때 해오던 대로 골리앗과 맞섰기 때문에 이길수 있었다는 점을 묵상해 봅니다.
성경해석의 기본원리를 종합정리합니다. 사무엘상 16, 17장을 통해 다윗이 어떻게 골리앗과 맞서게 되는지를 살펴봅니다. 다윗이 골리앗과 맞설 때 특별한 능력이 있어서가 아니라 다윗이 평소에 해오던 것을 활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평소 해오던 신앙생활이 위기의 순간에 그 능력을 발휘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위기 때에 하나님을 찾을 것이 아니라 평소생활, 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