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약성경은 약 40명의 저자가 1600여년에 걸쳐서 기록된 책입니다. 하지만 그 기록에는 놀라운 통일성을 갖고 있습니다. 성령께서 저자들의 마음을 주장해 같은 구원의 계시로 일관되게 기록했기 때문입니다. (딤후 3:16) 사무엘하 15, 16장에는 다윗이 세번째 아들 압살롬의 난을 피해 도망가는 와중에 여러 부류의 사람들의 반응이 기록돼 있습니다. 그 중에 므비보셋의 종인...
기독교의 기본문제들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존재를 문제 삼지 아니하고 인식을 문제삼습니다.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보다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것을 증명하는 것이 더 어렵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이 계시는가 아니계시는가를 문제삼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문제삼고 있습니다. 다윗의 아들 압살롬에 대해 살펴봅니다. 압살롬은 자신의 형인 암논을...
아브라함이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언약은 땅과 후손과 축복에 대한 언약이었습니다. 그 언약의 체결과정이 창세기 15장에 기록돼 있습니다. 아브라함이 직접 쪼갠 제물 사이로 여호와께서 지나가십니다. 하나님과 아브라함이 체결한 언약을 지키지 않을 경우, 제물을 쪼개듯이 자신을 찢을 것이란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아담이 언약의 시작을 말한다면 노아는 언약의 다시 시작함을 아브라함은 언약에...
기독교 신앙의 기초에 대한 부분을 설명합니다. 하나님 존재에 대한 이론적인 증명은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존재론적 증명(Ontological Proof, 안셀무스, 데카르트) 2. 우주론적 증명(Cosmological Proof) 3. 목적론적 증명(Teleological Proof)이 있습니다. 사무엘하 13장은 다윗이 낳은 배다른 자식들 사이에 강간사건과 형제간의 복수극을 기록합니다. 다윗의 장남인 암논이 누이인 다말을 강간하자 다말의...
뉴욕참교회(담임 문덕연 목사) 설립 28주년 장로임직 감사예배가 지난 10월 13일(주일) 플러싱에 있는 뉴욕참교회 본당에서 열렸다. 이날 김진목, 이승준, 채요한 장로 임직식이 은혜가운데 진행됐다. 문덕연 목사의 인도로 진행된 예배와 임직식에서 참석자들은 함께 찬양하며 서약하고 기도로 축복했다. 이길호 목사(뉴욕성실장로교회)는 ‘어떻게 교회를 섬길까’란 설교에서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임을 항상 기억하며 겸손한 마음으로...
아담 이후의 언약에 대한 부분을 정리하고 노아의 언약이 주는 의미에 대해 살펴봅니다. 노아홍수는 인간의 죄로 인해서 임했지만 하나님은 그 죄로 인해서 다시는 인간을 물로 심판하지 않겠다고 약속합니다. 언약으로 보여주신 ‘무지개’는 ‘활’이란 뜻이 있습니다. 창세기 6장 9절 ‘노아의 사적은 이러하니라'(이것이 ~의 후예니라)는 말씀은 창세기에서 10회에 걸쳐 사용됩니다. 전혀 새로운...
성경해석의 기본원리는 예수 그리스도가 그 중심에 있어야 한다는 것과 구약에서 신약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신약에서 구약을 해석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사무엘하 12장에서 다윗이 나단 선지자에게 책망을 들었을 때는 밧세바와의 동침 사건 이후 9개월이나 지난 뒤였습니다. 다윗은 그 9개월동안 모든 사람들에게 평상과 다름이 없는 사람으로 보였습니다. 하지만 시편 51편의...
1986년에 설립된 미주한인서화협회(회장 성정민)가 33주년을 맞아 가을전시회를 개최한다. 전시회는 뉴욕 리틀넥에 있는 미주한인서화협회 사무실(248-12 Northern Blvd., #B2 Little Neck NY 11363)에서 열린다. 박원선 전회장은 미주한인서화협회가 이제 정착단계에 접어들어 많은 회원들이 안정적인 작품을 제출하고 있다며 작품활동을 하며 한글에 대한 큰 자긍심을 느끼고 있음을 강조했다. 미주한인서화협회는 회원을 수시로 모집하고 있다....
성경해석의 기본원리 중 예언에 대한 부분을 살펴봅니다. 이사야 11장 6절 이하에 나오는 본문은 문자적 해석이 아닌 영적으로 해석해야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성경해석 원칙 중 본문의 흐름에 따라 해석해야 한다는 원칙에 비추어 이사야 11장 1절~5절을 보면 이 세상에 메시야가 올 것이란 내용을 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6절의 ‘그 때’란 예수님이...
‘점진적 구속사'(Progressive Redemption History)“성경은 역사만으로 해석할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성경은 역사를 무시하지 않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나님의 구원역사가 전 역사에 나타나는 과정으로 바라보는 것이 언약신학(Covenant Theology)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윤석 목사(브루클린제일교회)는 성경을 부분적으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하나의 관점을 갖고 바라보는 것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하나님과 인간이 맺은 언약에...